주목할 만한 과학자

한국을 빛낸 33인의 과학자 00:00 아름다운 이땅에 금수강산에 단군할아버지가 터잡으시고 홍익인간 뜻으로 나라 세우니 대대손손 훌륭한 과학자 많아 석굴암 세운...

시모무라 오사무 (下村 脩, 1928년 8월 27일 ~ )는 일본의 화학자, 해양생물학자이다. 나고야 대학에서 유기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리 뱅크스 멀리스 (Kary Banks Mullis, 1944년 12월 28일 ~ )는 미국의 생화학자이다. 1983년 중합 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한 DNA 증폭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1993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에르빈 루돌프 요제프 알렉산더 슈뢰딩거 (Erwin Rudolf Josef Alexander Schrödinger, 1887년 8월 12일 - 1961년 1월 4일)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비롯한 양자 역학에 대한 기여로 유명한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라틴어: Nicolaus Copernicus / 폴란드어: Mikołaj Kopernik, 1473년 2월 19일 - 1543년 5월 24일)는 당시 진리처럼 믿어온 지구중심설(천동설)의 오류를지적하고 태양중심설(지동설)을 주장하여 근대 자연과학의 획기적인 전환,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을 가져온 폴란드의 천문학자이다.

허준 (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다. 동의보감의 저자로 유명하였고,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에 책록되었다.

로절린드 엘시 프랭클린 (Rosalind Elsie Franklin, 1920년 7월 25일 - 1958년 4월 16일)은 영국의 생물물리학자로 X선 결정학을 통해 DNA, 바이러스, 석탄, 흑연의 구조를 밝혀내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요하네스 디데릭 반데르 발스 (Johannes Diderik van der Waals, 1837년 11월 23일 ~ 1923년 3월 9일)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다.

레슬리 램포트 (1941년 2월 7일 뉴욕 시 출생)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다.

이반 에드워드 서덜랜드 (Ivan Edward Sutherland, 1938년 5월 16일 ~ , 네브래스카 주 헤이스팅스 출생)는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인터넷과 컴퓨터 그래픽의 선구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