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50년 50가지 이야기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과학기술 50년 50가지 이야기

3957

우리나라는 1970년까지도 북한에서 전력 지원을 받는 일이 드물지 않았을 정도로 에너지 사정이 열악했습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 노력한 결과 현재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력을 공급하는 나라로 자리 잡았습니다.

3774

아래 그림은 2007년의 R&D 예산의 흐름과 양을 표현한 것입니다. 각 색상의 원은 해당 국가 기업의 R&D 투자액, 짙은 회색 원은 해당 국가 내에서 이루어진 투자액의 총합을 나타냅니다. 원이 겹치는 부분은 해당 국가의 기관과 기업들이 자국에 투자한 총액을 나타냅니다.

3360

한국의 기술 역량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습니다. 2013년 기준 20여 년만에 국제특허 출원수가 약 100배 이상 증가했으며, 그에 비례하여 기술수출액도 지속적으로 상승했습니다.

3337

대한민국 산업역사 속 과학기술자 30선

3482

전형적인 농업국이던 20세기 중반의 한국은 60여 년 사이에 선진 공업국으로 탈바꿈했습니다. 농림어업은 전체 산업구조에서 2.5%만 차지한 데 비해, 제조업의 견인으로 광업·제조업은 세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라 서비스업의 비중도 60% 이상 차지하고 있습니다.

4736

1970년대만 해도 한국의 기대수명은 OECD 평균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의료 및 보건기술의 발전으로 현재는 선진국 중에서도 기대수명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한 나라의 보건수준을 평가하는 영아사망률 역시 세계적으로 최고 수준으로 분류됩니다.

3678

한국의 가장 강력한 무기는 바로 ‘우수한 인재’입니다. 국토가 좁고 부존자원이 적은 한국은 과학기술에 투자하여 지식자본을 확보하는 것이 곧 국제사회에서의 경쟁력입니다. 그러나 그 근간을 이루는 과학문화의 현실은 녹록하지 않습니다.

3985

전쟁 후 국가 재건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교육, 특히 국가를 움직일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이었습니다. 해외 원조와 지원으로 틀을 잡아나가기 시작한 한국의 교육은 경제성장과 민주화에 따라 해외 교류가 점점 활발해졌습니다.

4063

한국의 도로 환경은 꾸준히 개선되어 왔습니다. 1966년만 해도 대부분의 도로가 비포장 도로였지만 2014년 기준으로 국내 도로 포장률은 92.4%에 달하여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7510

한국은 과거 국제 사회의 원조를 받는 대표적인 나라였습니다. 대부분이 과학기술에 관련된 원조였지요. 이러한 원조는 나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고, 현재 한국이 원조를 하는 나라로 거듭나는 기반이 되었답니다. 원조를 받았던 과거의 역사와 원조를 주는 지금의 현황을 살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