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표 과학자 31인

4503
152명의 의학 박사 배출, 256편의 연구 지도 한국 최초의 병리학자 윤일선 (1896 ~ 1987) 1929년, 교토제국대에서 병리학 박사 학위 취득 우리나라 근대의학 도입의 주역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병리학 교실 연구실적 등에서 최고 전성기 우리말 의학 학술지 《조선의보》 창간 국제학술지(Cancer Research)에 한국인 악성종양 통계 최초 게재 교육과 연구에 생을 바친 윤 일 선 (1896 ~ 1987) 위대한 과학기술인입니다.

5007
세종 이후 또 한 번의 과학기술 부흥기 영·정조 시대 천문·역산 연구를 책임 수행한 서 호 수 (1736 ~ 1799) 조선 4백 년 간 천문현상 기록 수집, 정리 《국조역상고》 편찬 2개의 해시계를 하나의 돌에 새겨놓은 간평일구 · 혼개일구 창제 '해동농서' 집필 새로운 농학 체계 확립 조선 최고의 천문 역산 전문가 서 호 수 (1736 ~ 1799)

5150
전쟁의 상처를 복구하기 위한 혁신 정책 1930년대 대중 과학 잡지 '과학조선' '과학시대' 간행 1933년 중앙시험소 공업용수 활용정책 연구 1953년 상공부 장관 '3F 산업정책' 추진 : Force & Fuel 에너지와 연료 / Fertilizer 비료 / Fund 자금 충주비료 등 주요 산업시설 건설 화력발전소 건설 추진 국가 재건 주역인 화학공학자 안 동 혁 (1907 ~ 2004)

4616
1940년 한국인 책 최초! 영국 왕립 아시아학회 도서관에 소장 석주명의 [한국산 나비 총목록] (A Synonymic List of Butterflies of Korea) 한국산 나비분류학을 정립한 석주명 (1908 ~ 1950) 순우리말 나비 이름을 짓고 백두에서 제주까지 분포도 작성 16만7847마리 배추흰나비의 앞날개 길이를 일일이 재 다른 종으로 보고된 20여 개 학명이 단순 개체변이에 불과함을 증명 '배추흰나비의 변이 연구' 잘못 기록된 921종의 한국산 나비 250여 종으로 통계 정리 생물학에 민족성을 심은 '나비박사' 석 주 명 (1908 ~ 1950) 위대한 과학기술인입니다.

4505
서울대 공대 초대 학장 산·알칼리, 비료, 화학 등 10여개 과목 강의 1946년 대한화학회 창립 참여 4 · 5 · 8 ·12 ·13대 회장 1963년 국제 순수화학 및 응용화학 연합회 가입 한국 화학계 국제화 기여 -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대 상임위원(1959) - 상공부 공업표준심의회 초대회장(1962)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창설(1966년) - 한국석유산업개발센터 설립(1970) - 화학회관 건립위원장(1971) - 원로과학기술자문단(현 한국과학기술자문봉사단) 초대 단장(1986) 인견사 공장 건설 한국 화학섬유공업 개척 요업, 에너지, 원자력 발전 초석 다짐 과학계와 산업의 창의적 산학협동 선구자 김동일(1908~1998)

4385
구급 상황 대처법 정리, 산부인과 · 소아과에 관한 의학 지식 모음 백성이 쓰기 편한 공중보건 의서를 편찬 1610년 (광해군 3년) 동의보감 완성 주요 의서 500여 권 비교 분석 의학 대중화에 기여 백성을 살리는 어진 의술을 펼친 허 준 (1537~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