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핵종(核種)이 가진 모든 성질을 화학적 입장에서 연구하는 화학의 한 분야. 핵종이란 원자의 종류를 원자핵의 상태, 즉 원자번호·질량수·에너지 상태로 분류한 것인데, 이전에 사용해온 동위원소라는 말은 핵화학의 입장에서는 불확실한 용어로서 엄밀하게는 원자번호가 같은 핵종을 동위원소, 질량수가 같은 핵종을 동중원소(同重元素)로 구별해야 한다.
행성 및 행성 근방의 공간을 탐사하기 위한 기기(機器). 행성탐사체를 이용한 탐사는 1960년대에 이르러 미국·소련에 의해 급속히 추진되어 베일에 가려져 있던 행성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많이 얻었다.미국의 행성탐사체로는 매리너 시리즈·파이어니어 시리즈·바이킹 탐사체 및 보이저 탐사체가 있다.
전해질(電解質) 용액의 희석도와 전리도(電離度)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 1888년 독일의 W. 오스트발트에 의해 발견되었다.전해질 용액을 회석해 가면 점차 전해질의 전리가 증대하여 이온이 증가한다.이 때 회석도와 전리도의 관계에 질량작용(質量作用)의 법칙을 적용한 전리평형의 법칙이 희석률이다.예컨대, 아세트산이 물에 녹아 있는 경우의 전리는 다음과 같은 전리평형을 유지하고 있다.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物理量)의 값이 그때의 조건뿐만 아니라 어떤 변화를 거쳐 현재의 상태에 이르렀는가 하는 이력현상(履歷現象). 예컨대 자화(磁化)해 있지 않은 철막대에 밖으로부터 자기장을 작용시키면 자화는 자기장에 비례해서 증대하고, 이 단계에서 자기장을 0으로 하면 자화도 0이 되는데, 자기장을 더욱 강하게 하면 자화는 일정한 값에서 포화(飽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