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류/복지/여성

0

지난 해에는 사회 각지에서 ‘욜로’ 붐이 일었다. ‘욜로’란, ‘You Only Live Once’의 줄임말로, 한번뿐인 인생에서 지금의 행복을 가장 중시하려는 소비성향을 뜻한다. ‘황금 개’의 해라는 올 해는 어떤 트렌드가 우리의 삶을 관통할까.

0

“난 속에서부터 고장났다. 천천히 날 갉아먹던 우울은 결국 날 집어삼켰고 난 그걸 이길 수 없었다.” 아이돌 스타 고(故) 샤이니 종현의 유서는 이렇게 시작된다. 지난 18일 세상을 등진 그는 유서의 내용처럼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0

근래 우리 사회에서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얘기가 상당히 유행한 바 있다. 사자성어(?)식으로 내로남불이라는 약어로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는데, 물론 원래의 뜻보다는 사회적 풍자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0

최근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추진할 사회문제해결형 사업의 신규과제로 ‘생활화학제품 사용 위해(危害)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과 ‘고령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디지털 컴패니언(companion) 개발’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0

사람은 도덕적 판단에 의해서 사건과 사물을 판단한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객관적인 사실이라기 보다, 마음속에서 어떻게 인지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0

인간을 사랑하게끔 프로그래밍된 최초의 로봇인 데이비드를 작동시키기 위해선 한 가지 주의사항을 지켜야 한다. 바로 ‘각인 절차’다. 즉, 이 방법을 통해 처음으로 자신을 활성화시킨 인간에게 데이비드는 애착 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0

1992년 세계 유력 과학자들이 발표했던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의 업데이트판이 25년만에 나왔다.

0

한 번 받기도 힘들다는 노벨상을 두 번이나 받은 사람은 지금까지 총 4명이다. 프랑스의 마리 퀴리가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미국의 물리학자 존 바딘은 물리학상을 두 차례에 걸쳐 받았다. 또한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도 화학상을 두 번 수상했다.

0

24일 ‘워싱톤 포스트’ 지에 따르면 6개월여가 지난 지금까지 '과학을 위한 행진'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 최근 휴스턴에서는 지난 8월 허리케인 하비로 인해 파괴된 연구소와 학교 시설을 서둘러 복구할 것을 촉수하는 시위가 연일 벌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