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콘텐츠센터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3

과학콘텐츠센터

2755

주로 쌀이나 콩ㆍ메밀ㆍ녹두ㆍ팥ㆍ밀 등의 잡곡을 갈거나 빻는데 많이 사용하고 두부를 만들기 위해서 불린 콩을 가는데도 쓰이며, 김치를 담글 때도 빠지지 않는 기구로 각 지역에 따라 풀매(전남 해남)ㆍ맷독(전남 영광)ㆍ망돌가래ㆍ망이라 부른다. 맷돌의 크기가 같은 둥글고 넓적한 2개의 아랫돌과 윗돌을 다듬어 한 짝으로 포개고 아랫돌 중심에 줌쇠를 끼우는 작은 홈과, 갈을 곡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커다란 구멍을 뚫는다.

2160

솜이나 털 또는 고치 따위의 섬유를 자아 실을 뽑아내는 간단한 수공업기구를 말한다.

2302

논이나 밭에 모여드는 참새를 쫓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대나무로 만든 기구로 길이 50-60cm의 대나무 토막의 한끝을 네 갈래로 짜개어서 十자형으로 작은 막대를 물리고 단단히 동여맨다. 이것을 장대 끝의 삼 줄에 매달린 우묵한 쌈지에 흙이나 작은 돌을 담고 휘돌리다가 참새가 있는 방향으로 내두르면 놀라 달아난다. 지방에 따라 팽매(전남 보성, 전북 고창)ㆍ팽개(전남 영광, 전북 봉동)라 부른다.

4961

기구가 뜨는 이유는 부력 때문이다. 이는 유명한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생각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다. 즉 공기가 가득 채워져있는 공간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있으면 가스의 무게보다 큰 부력이 작용하여 기구가 상승하는 (혹은 공기에 의해 떠오르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바탕해 1783년 프랑스의 몽골피에 형제는 최초로 기구를 사용하여 43km 정도의 거리를 여행할 수 있었다고 한다(고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소가스를 넣은 기구의 부력을 계산해보자. 기구의 체적을 100m 3 , 기구의 무게를 12kg, 수소가스의 무게를 8kg, 공기의 밀도를 0.0013g/cm 3 이라고 하면, ● 지상에서 기구에 작용하는 힘(부력) = 기구의 체적 × 지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