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재료

0

박테리아 잉크를 사용하는 3D프린팅 기술이 개발됐다. 살아있는 박테리아의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화상치료 등에 응용될 전망이다. 과학자들은 이미 강도높은 부품생산이나 인공뼈 개발에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1

영하 196도의 극저온 환경에서도 견디는 초고강도 합금이 포스텍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0

A.D. 79년 경 유명한 《박물지》(Naturalis Historia)를 저술한 로마의 정치가이자 저술가인 대(大) 플리니우스는 짠 바닷물 파도의 공격에 쉴 새 없이 노출되는 항구의 콘크리트 구조물들이 “파도에도 끄덕 없이 매일 매일 강해지는 돌덩이가 돼 가고 있다”고 썼다.

0

과학기술 전문 매체인 파퓰러사이언스(Popular Science)는 중국의 과학자들이 스펀지 같은 물성을 가진 신개념 세라믹을 개발했다고 보도하면서, 상용화가 된다면 전자제품의 절연체나 소방용구, 또는 정수기와 같이 다양한 용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0

리튬전지가 영하 60℃의 극저온에서도 우수한 성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해질 화학분야의 획기적인 돌파구가 마련됐다.

0

차세대 소재로 일컬어지던 그래핀을 실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들이 최근 잇달아 발표되면서 주목을 끌고 있다. 그래핀은 탄소원자로 만들어진 원자 크기의 벌집 형태 구조를 가진 소재로서, 지금까지 알려진 물질 중 가장 강하고 전도성도 높다.

0

미국 버클리랩 연구진이 2차원 반 데르 발스 결정에서 고유한 강자성을 발견했다.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26일자에 게재된 이 발견은 나노 기억소자와 스핀트로닉 장치 및 자기 센서와 같은 강자성 물질을 사용하는 광범위한 응용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된다.

0

백색 발광다이오드(LED)의 단점을 보완한 새 형광체 기술이 개발됐다.

0

나노복합소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강화 재료가 필요한데, 최근 들어 무기물질 외에도 나노셀룰로오스(nanocellulose) 같은 유기물질이 새로운 강화재료로 활용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0

지난해 7월 5일 목성 궤도에 무게 4톤짜리 육각형 탐사선 한 대가 안착했다. 지구에서 발사돼 4년 11개월간 28억㎞를 비행한 끝에 도착한 탐사선의 이름은 주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