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융합강연자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2

과학융합강연자

875

최신 스타트업 기업들의 성공적 사례의 문제해결이 가장 기초적인 과학교과서적 지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는 과학교과서의 중요성을 알리고, 성인에게는 기업의 문제해결의 기본 원칙을 상기시키고자 합니다.

817

독특한 재능을 가진 사람들. 그런 사람들을 뇌 과학과 교육의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서 재능의 비밀에 대해 좀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강연입니다.

986

가까운 시일 내에 실현될 차세대 이동수단들의 소개와 그들로 인해 바뀌게 될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모습에 대해 설명합니다. 더불어, 그것들을 가능케 하기 위해 필요할 첨단 기술들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봅니다.

1016

미래사회 AI기술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빅데이터! 빅데이터는 이미 마케팅, 보건의료, 공공서비스, 환경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활용 분야를 넓히고 있습니다. 미래사회의 교육에서도 빅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빅데이터를 교육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안들을 살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954

시간은 우리가 볼 수 없는 개념입니다. 시계로 측정하며 막연히 느끼고 살아갑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의 특성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0세기의 위대한 과학자 아인슈타인은 놀라운 직관력으로 이 ‘시간’, 혹은 ‘시공간’이라는 개념을 인지하고 이를 우리가 볼 수 있는 수식과 공식으로 나타냈습니다. 그 놀라운 직관력의 배경에는 그의 풍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한 유연한 사고와, 수학자들과 온갖 실패와 실수를 거듭한 10년이라는 긴 세월의 연구가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가 바라보지 못하는 세상을 밝혀내고 표현해내기 위해선 이전과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유연하게 생각하며 때로는 다른 영역과 상호작용하여 그 결과를 얻어내야 합니다.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여러분도 이러한 자세를 가지고 살아간다면 보지 못했던 세상이 여러분 눈 앞에 펼쳐질 것입니다.

871

화성탐사선 ‘Mars2020’이 가지는 과학적 목표를 소개합니다. 1. 화성의 지질학적 환경 2. 생명체 보존 가능성 확인 3. 화성 토양 시료 확보 4. 인간의 화성탐사 준비에 기여

877

은하가 서로의 매력(중력)에 이끌려 사교생활(상호작용)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인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의 사교생활을 예측해보는 시간을 가져볼 예정입니다. 이번 강연을 통해 은하도 사람처럼 사교생활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가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898

520광년 떨어진 백두와 한라 별,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 빛의 속도로 가도 어마어마하게 멀리 떨어진 별과 은하들까지의 거리. 천문학자들은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거리를 쟀을까요? 빛의 속도를 넘어 가장 먼 거리에 닿기 위해 천문학자들이 오르는 사다리를, 함께 올라볼까요?

1857

색은 빛 에너지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빛을 감지하는 능력은 생존을 위해 진화하였습니다. 그 진화 과정과 보는 과정을 알아보아 색이 물리적인 색만이 아닌 심리적으로 받아들이는 색에 의해 다르게 보이는 것임을 알아보는 여러 가지 현상들을 살펴봅니다. 위치, 배경, 굴절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색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보색대비 배려의 마음으로 색의 진동을 느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다르게 보이는 색은 빛 에너지의 총량에 따라 달라지지만 본질은 같은 것처럼 자신이 지금 처한 위치가 초라하게 느껴질지라도 그 자신의 의미를 귀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으로 마무리합니다.

1104

인공위성 센터에서 근무하며, 실제로 만났던 우주쓰레기에 대한 이야기! 우주쓰레기의 탐지, 분석, 회피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고 그 위험성에 대해서도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