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연구일지
과학이야기
[연구일지] 여름에 대발생하는 대벌레, 곰팡이 녹강균으로 조절하다!
연구일지📚
여름철 쉽게 볼 수 있는 대벌레를
방제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곰팡이 녹강균!
자세히 알아볼까요? 😊
곰팡이 녹강균이란?
녹강균은 곤충병원성 곰팡이의 한 종류로,
곤충의 유충 등의 표피에 침입하여 체내에서 증식해 기생합니다.
주로 사마귀나 대벌레 등 다양한 곤충들을 기주로 삼죠.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녹강균에 의해 대벌레가 90% 이상 폐사하는 것을 확인하고,
친환경적으로 대벌레를 방제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대벌레 대량 발생! 녹강균으로 막아내다
2020년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량 발생하는 대벌레!
공원 등 나무가 많은 곳에 떼로 출몰해 불쾌감을 주기도 하는데요~
국립생물자원관은 2022년부터 강원대학교 정종국 교수 연구진과
<대벌레 대발생 원인 분석 연구> 과정을 함께 진행하고 있는데요!
위 과정에서 여름철의 높은 온도와 습도, 강수량이
녹강균의 활성을 증가시켜 대벌레의 폐사율을 높였다는 결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생태계의 중요한 조절 인자로 밝혀진 녹강균의 가능성!
위 연구 결과로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실용화 연구까지 추진될 예정이라구요~
환경도 지키고 대벌레 개체수도 조절하니,
일석이조!
국립생물자원관의 우리생물 연구생활🔎이 더 궁금하다면?
하단의 링크를 통해 더 자세히 이야기를 알아보세요!
수도권에 대량 출몰한 대벌레 떼, 곰팡이로 줄인다
- 다음
- [연구일지] 지구온난화를 막는 착한 세균, 메탄자화균! 2024.07.19
- 이전
- [우리땅,우리생물] 하늘다람쥐의 자유로운 활공 2024.06.28
댓글 남기기
전체 댓글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