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증

[요약] 자궁 이외의 조직에 자궁내막 조직이 부착되어 증식하는 질환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의 조직(자궁선과 기질)이 자궁의 바깥에 존재하여 질환을 발생시키는 상태이다. 자궁 바깥에 자리잡은 이소성 자궁내막 세포는 각종 성호르몬의 수용체를 갖고 있고 월경 주기에 따라 그 병변에 국소적인 출혈, 염증 반응이 계속되다가 섬유화, 유착 등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통증 및 불임 등이 발생하게 된다.
자궁내막증을 발생시키는 원인은 다양하게 제기되었는데 그 중 월경 시 난관을 통해 역행성 월경이 일어나면서 월경혈에 내포된 자궁내막 세포가 골반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질환이 유발된다는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
자궁내막증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월경 직전 또는 월경과 함께 나타나는 골반통이다. 대개 자궁내막증에 연관된 월경통은 월경 전부터 월경 기간까지 계속 지속된다. 성교통도 종종 나타나며 유착된 골반 조직의 긴장, 자궁내막종처럼 병변이 있는 난소나 자궁 골반 인대 부위의 압력 때문으로 생각된다. 아직까지 논란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궁내막증을 가진 여성은 임신율이 낮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중등도 또는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난관에서 난자의 흡입에 지장을 주고 난관의 운동성도 저하되기 때문에 임신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경증의 환자에게서도 임신율이 낮아지는지에 대한 확실한 근거는 아직 없다.
자궁내막증의 치료 전에는 반드시 복강경으로 확진을 해야 하고, 치료 방법은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뉜다. 내과적 치료에는 진통제, 경구피임제, 황체호르몬, 다나졸,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을 투여하는 방법이 있다. 외과적 치료는 임신 및 가임력 보존을 위해 복강경, 개복술로 자궁내막증의 병소를 제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