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서명 | 자연이 만든 가장 완벽한 도형, 나선 |
---|---|---|
저 자 | 외위빈 함메르 지음 / 박유진 옮김 | |
출판사 | 컬처룩 | |
발간일 | 2018.06.05. | |
부 문 | 청소년 | |
책소개앵무조개에서 은하까지, ‘나선에 관한 모든 것’ 시간의 심연에서 나온 나선형. 나선은 고대 그리스의 아르키메데스를 비롯해서 오래전부터 위대한 지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완벽한 도형’으로 불렸다. 데카르트, 뉴턴, 베르누이 등은 나선을 수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천체의 운동을 증명해 보일 수 있었다. 나선 덕분에 오늘날의 GPS도, 우주 망원경도 가능하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철학자와 수학자들뿐만 아니라 뒤러, 다 빈치 같은 예술가들과 건축가들도 나선에 심취했다. 이들이 만들어 낸 나선 장식은 신전 기둥머리, 암각화, 각종 장신구, 고급 저택의 대문 등 눈길 닿는 곳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 이처럼 저자는 신화, 예술, 자연, 과학, 수학, 인체 등 서로 이질적으로 보이는 온갖 곳에서 나선을 실마리로 삼아 흥미진진하게 이야기를 풀어 나가면서 중간중간 생각거리와 질문을 던진다. 우리의 머리에 있는 가마도 나선형인데, 가마의 나선은 왼돌이가 많을까 오른돌이가 많을까? 그것은 인종이나 성별(성정체성) 혹은 왼(오른)손잡이와 관련이 있을까? 또 고대에 지어진 나선 계단은 왼쪽으로 돌아 올라가는 나선 계단이 많은데 이는 무엇 때문일까? 나아가 보어스 앤 윌킨스사의 노틸러스 스피커는 나선형에 착안했으며, 이를 통해 스피커의 부피는 줄이고 소리의 손실은 적게 할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이것은 인간의 귓속에 있는 달팽이관과 같은 원리라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가 이토록 나선에 매혹되는 까닭은 인간 뇌의 시각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게 아닐까 추측한다. 한편 이 책 자체도 나선형 구조로 짜여 있다. 그래서 거의 동떨어진 장들이 나선이라는 공통 주제를 둘러싸고 빙빙 돌며 점점 더 주제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처럼 보이도록 구성돼 있다. 각각의 이야기들이 완결적인 재미를 가지면서도 서로서로 연결돼 있는 것이다. 나선이 과학과 수학, 특히 기하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띠고 있는지를 풍부하고 다양한 그림과 사진들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점도 이 책의 큰 매력이다. 이렇게 나선이 품고 있는 수수께끼를 하나하나 풀어가다 보면 독자들은 인간과 자연에 대해 이전에는 몰랐던 색다른 통찰에 이르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