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지자(隔地者)간에 일정한 도구·매체를 사용해 의사·정보·감정 등의 교환을 하는 인간의 지적인 활동. 현대는 전화·라디오·텔레비전 등 통신수단의 이용 없이는 사회 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렵다.
전기통신을 발명하기 이전부터 인류는 봉화·메가폰·파발·전서구(傳書鳩)·망원경에 의한 관찰 등 갖가지 방법을 사용, 자신들의 의사·감정·정보를 교환해 왔다.
〔전신·전화〕1844년 5월 24일 미국의 S. F. B. 모스는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에서 유명한「신(神)이 하신 일」(What hath God wrought)이라는 전문을 시험 전송, 전신시대의 막을 열었다.
1866년 7월에는 대서양 케이블이 미국과 유럽 대륙 사이에 가설되어 뉴욕과 런던 간의 통신이 초(秒)단위로 가능하게 되었다.
그 10년 후 미국의 G. 벨은 1876년 2월 14일에 텔레폰이라는 장치의 특허를 출원, 전선을 통해 음성을 전달하는데 성공했다.
〔무선통신〕1896년 이탈리아의 G. 마르코니는 무선 전신을 발명, 브리스틀 해협 너머로 14km에 걸쳐 무선통신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1899년에는 영국해협 횡단의 무전통신에 성공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는 항공기에 무선통신기를 탑재해 정찰 임무를 했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단파와 초단파, 극초단파까지 사용할 수 있는 진공관이 개발되었으며 레이더나 로란(쌍곡선 항법)시스템 등이 등장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선장비의 우열이 전쟁의 승패를 좌우했다 해도 지나치지 않았다.
〔현대의 통신〕 ① 무선통신 : 일찍이 세계를 지배하던 모스 통신은 해상통신에서 지금도 조난통신(遭難通信)을 주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단측파대(單側波帶 ; single sideband ; SSB)에 의한 원양선박전화(단파)나 FM에 의한 연안선박전화, 국제항만전화(very high frequency ; VHF) 등이 보급되고, 기상정보(일기도)·뉴스 등의 입수도 단파에 의한 팩시밀리가 주역을 맡게 됨으로써 그 지위는 약화되고 있다.
더욱이 국제해사위성통신기구(國際海事衛星通信機構 ; International Maritime Satellite ; INMARSAT)에 의한 선박지구국(船舶地球局)이 창설되어 텔레타이프나 전화를 사용하는 육상 또는 선박 상호간의 즉시통신과 국제해사위성을 이용하는 팩시밀리나 데이터통신도 보급되고 있다.
단파통신회선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선택호출과 오자정정 기능도 가지고 있는 협대역직접인쇄전신(狹帶域直接印刷電信)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으므로 모스 통신은 그 자취를 감추게 될 것 같다.
② 위성통신 : 인텔샛(INTELSAT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Satellite Organization) 계의 통신위성은 1978년 3월에 발사된 프라이머리를 비롯, 태평양상에 3개, 대서양상에 4개, 인도양상에 3개가 궤도상에 있다.
우리 나라는 1967년 2월 인텔샛에 가입, 1970년 6월과 77년 9월에 태평양 및 인도양위성통신을 위한 지구국을 금산(錦山)에 설치함으로써 전세계 어느 곳과도 위성통신을 통해 방안에서 TV뉴스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③ 디지틀통신 : 지상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통신회선은 전화·텔레타이프·팩시밀리·데이터 통신 등 모두가 TDM(time division multiplex ; 時分割多重化) 방식에 의해 수천, 수만의 통화가 한가닥의 통신회선을 통해 동시에 전송된다.
또한 하나의 통화는 PCM(pulse code modulation)에 의해 디지틀화되어 수신측에서 재생될 때 오류나 착오를 최소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잡음이나 느낌의 불량성이 거의 제거되었다.
주반송파(主搬送波)는 수(數)기가헤르츠 (gigahertz)의 마이크로 웨이브이며, 변조방식은 PSK(phase shift keying ; 위상편이 변조)방식에 의해 광대역화(廣帶域化) 되어 있다.
이 대역폭을 지나치게 확대하지 않고 고속화할 수 있는 변조 방식으로서 MSK(minimum shift keying) 방식이 개발되어 고속 데이터 전송회로 등(특히 인공위성을 사용하는 리모트 센싱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고 있다.
광대역화와 고속화의 극한에 있는 것이 광통신(光通信)인데, 광통신케이블도 실용단계에 있다.
이러한 통신기술의 발전은 주로 PCM기술에 힘입은 것인데, PCM기술발달의 원동력은 반도체 박막소자의 발달이다.
이 소자(素子)의 활용에 의해 플립플럽(flip-flop)·카운터·앤드회로·메모리 등의 논리 회로군(論理回路群)을 집적회로(IC)화했고, 다시 마이크로 프로세서, 컴퓨터로 발전해 PCM기술을 지원하는 기초기술이 되었다.
현단계에서 인간은 다른 행성에 발사한 탐사체의 관측 시스템을 원격조작해 센서(sensor)나 카메라를 정확하게 목표를 향하게 하여 데이터나 사진을 전송케 하거나 프로그램에 따른 복잡한 순서로 관측시키거나 또는 상황을 판단, 다음 행동을 취하게 하는 등의 기술까지 개발했다.
이런 고도의 기술은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 ; 원격감지)과 같은 평화목적에 이용한다면 새로운 자원의 발견이나 과학·천문학상의 연구·발전을 크게 돕는 유용한 자산이 될 것이다.
④ 새로운 통신시스템 : 최근 영국이나 미국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부가가치통신망(VAN ; value added network)이나 근거리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도 새로운 통신 시스템이다.
VAN은 사용하는 컴퓨터의 시스템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전송도중에 시스템을 변환하는 등의 처리(부가가치)를 함으로써 마치 동종의 시스템인 것처럼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다.
LAN은 은행 간의 예금 데이터의 교환을 비롯해 메일(mail)의 자동화, 항공권이나 열차표의 자동예약이나 자동확보 등이 가능하다.
비디오텍스(videotex)란, 전화회선을 써서 정보센터에 있는 대형 컴퓨터에 기억된 정보를 인출해 TV에 문자와 도형으로 보여주는 문자 도형정보통신망이다.
그 선두국은 영국으로 1979년에 프레스텔(prestel)과 데이텔(datel)이라는 시스템을, 캐나다는 텔리돈, 프랑스는 텔레텔, 일본은 캡틴(CAPTAIN ; character and pattern telephone access information network)이라는 전화회선 문자정보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는데, 예컨대 가정에서 쇼핑, 은행업무, 숙박정보, 기차나 항공기의 예약 등 각종 정보 안내를 이용할 수 있다.
통신시스템의 능력과 그 개발능력의 우열이 국제사회에서의 위치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