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순열이 있을 때, 이 순열에서 어떤 수와 어떤 수의 자리를 맞바꿈을 한다고 했을 때 위치 교환을 짝수 번 하고 얻어낸 순열을 짝순열이라고 하며, 반대로 홀수 번 하고 얻어낸 순열을 바로 홀순열이라고 한다. 기순열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1, 2, 3, 4라는 순열이 있을 때, 이를 2, 1, 3, 4로 한 번 바꾸고 2, 3, 1, 4로 다시 한 번 바꾸고, 3, 2, 1, 4로 또 한 번 바꾸었을 경우 위치 교환 횟수는 3번이 되므로 3, 2, 1, 4는 1, 2, 3, 4의 홀순열이다. 이때, 처음 한 번 바꾼 2, 1, 3, 4의 교환 횟수는 1번으로 역시 홀수 번이므로 2, 1, 3, 4도 홀순열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