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버그-살람의 이론(Weinberg-Salam theory )

경입지(lepton)와 쿼크의 전자기(電磁氣)적 상호작용 및 약한 상호작용을 게이지장(양-밀스장) 과 히그스 기구(機構)라는 관점에서 정식화(定式化)한 재규격화 가농한 장(揚)의 이론. 전자기력의 도달거리가 긴 힘이고 그것을 매개하는 광자(photon)의 질량이 0인 데 비해 약한 힘의 도달거리는 극단적으로 짧다.


그런데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은 사설은 같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희망적 관측도 나왔다.


즉 상호작용의 겉보기 세기의 차이는 약한 상호작용으로 교환되는 입자 (워크 보손이라 불리며, W, W, Z가 있다)의 질량이 극히 크다는 차이에만 의존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면 짧은 거리에서는 약한 힘이 전자기력과 같은 세기가 되는데 그 도달거리가 훨씬 짧으므로 먼 거리에서는 약하게 보이는데 지나지 않는다.


이 이론의 가장 간단한 모형에서는 W 입자의 질량은 약 80GeV, Z입자의 질량은 약 90GeV로 예언되었다.


1983년 세른(CERN)의 양성자(陽性子)-반양성자(反陽性子) 충돌형 가속기를 사용한 실험에서 W, Z입자가 모두 발견되고 그 질량도 대략 예언과 같다는 것이 밝혀져 이 전자기적 상호작용과 약한 상호작용의 통일이론(와인버그-살람의 이론)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통일이론의 성공은 한 걸음 더 나아가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 적 상호작용의 세 가지 기본 상호작용이 공통의 기초를 가지며 스핀 1의 입자에 의해 매개된다는 대통일이론(大統一理論)이 나오게 했다.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