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식 CHCH
OH. 대표적인 지방족(脂肪族) 포화알코올. 탄화수소의 수소원자를 수산기(-OH ; 히드록시기라고도 한다)로 치환한 유기화합물을 알코올(류)이라 총칭하며, 일반식 R-OH로 표시한다.
에탄올은 그 대표적인 것으로 좁은의미에서 단지 알코올이라고 하면 에탄올을 가리킬 때도 많다.
분자량 46.07, 녹는점 -114.5℃, 끓는점78.32℃, 비중 0.789(측정온도 20℃), 굴절률 =1. 3623 , 표면장력 22,3dyn/cm(20℃ , 공기), 증발열 229cal/g(0℃), 폭발한계 3.3~19부피%이다.
옛부터 알려져 있었으며, 많은 알코올 음료에 함유되어 있고, 주정(酒精) · 에틸알코올이라고도 불린다.
술에 취하는 것이 에탄올 때문임이 밝혀진 것은 15세기이다.
조성(組成)은 A. L. 라부아지에 등이 측정 했으며 J. L. 게이-뤼삭 등에 의해 확정되었다.
특유한 향기와 맛이 있는 무색의 액체이며 물 및 다른 알코올과도, 또 클로로포름이나 에테르 등 많은 유기용매와도임의의 비율로 서로 잘 섞인다.
그런데 물과의 혼합 물을 증류하더라도 에탄올이 물보다 20℃ 이상이나 끓는점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순수한 에탄올을 얻을 수는 없으며 에탄올 96.0%, 물 40%로 이루어진 공비혼합물(共沸混合物)을 얻는다.
그래서 무수의 에탄올을 얻는데는 적당한 탈수제를 가해서 증류하거나 아니면 벤젠을 가해 벤젠과 물의 공비현상(共沸現象)을 이용하여 증류한다.
불붙기 쉽고, 발화하면 색이 없는 불꽃을 낸다.
증기에 인화하면 폭발하는 수도 있다.
산화되면 아세트알데히드를 거쳐 아세트산이된다.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살균작용이 있으며, 그 효과는 70% 수용액이 가장 높다.
천연으로는 카르복시산의 에틸에스테르의 형태로 존재하며 유리된 에탄올의 형태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주류는 에탄올을 함유하며 음료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보통 맥주는 3~4%, 포도주는 7~14%, 청주는 15~16%, 위스키와 브랜디 등 증류주는 35~55%의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다.
에탄올은 이전에 아세트알데히드, 다시 그것으로 아세트산을 합성하는 원료로 이용되었는데, 이 방식은 현재 에틸렌으로의 직접수화법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