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출 (exudation)渗出

① 혈관의 투과성(透過性)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혈액성분이 혈관 밖으로 스며 나오는 것.

염증이 있을 때 볼 수 있는 중요 병변이다. 혈관에서 삼출되는 혈액 성분은 혈장 같은 액체와 적혈구 또는 백혈구와 같은 세포로 되어 있다. 염증이 생긴 곳에는 이와 같은 혈관에서 유래하는 것에 최염물(催炎物)이나 국소의 세포 또는 액체가 가해진 삼출액이 존재한다. 삼출은 비염증성 여출(濾出)과는 다른 현상이며, 삼출액은 여출액과 달리 단백질이 많고 비중이 높으며 pH는 처음에는 알칼리성쪽에 있으나 점차 산성쪽으로 이동한다. 단백질 이외에 탄수화물·지방·각종 염류·폴리펩티드·아미노산·아민·효소·항체 등이 검출된다.

② 호상(糊狀) 또는 분말상의 물질에 원하는 특정 성분만을 용해하는 용매(溶媒)를 가해 원물질에서 분리시키는 방법.

화학분석에서 분리를 목적으로 하여 여과지 위에서 축축한 침전물에 적당한 용액을 부어 특정 성분만을 용해시키는 조작이 흔히 사용된다. 그리고 이 삼출액을 다시 침전물 위에 붓는 일을 되풀이함으로써 완전히 분리한다. 또 습식야금(濕式冶金)에서는 광석의 분말에 적당한 시약 수용액을 가해 원하는 금속만을 분리 추출하는 일이 흔하다. 이 경우는 대형의 교반조(攪伴槽)와 침전조 또는 여과조가 사용된다. 속슬레의 추출기도 입상 물질에서 특정 성분을 삼출하는 기구이다.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