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 동위원소를 시약 또는 지시약으로 이용하여 방사능을 측정해서 비방사성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
분석 대상인 비방사성 원소에 방사성 핵종을 포함한 화학종을 화학량론적으로 결합시켜 방사능 측정에 의해 그 당량 관계를 이용하여 목적한 비방사성 원소를 정량하는 경우가 많은데, 방사성 핵종을 포함한 시약을 단순히 지시약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비슷한 용어에 방사화분석과 방사화학분석이 있다. 전자는 비방사성 물질을 조사해서 방사화하여 방사능을 측정해서 분석하는 방법이며 후자는 방사성 시료 속에 있는 방사성 물질을 방사능 측정에 의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각기 방사분석과는 구별된다. 방사분석의 일례로 침전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를테면 용액 속의 CrO42- 을 정량할 때 110mAg을 함유하는 질산은 용액을 과다하게 가하여 Ag2 CrO4의 침전과 윗부분에 생기는 맑은 액을 분리한 후 어느 한쪽 상(相)의 110mAg을 측정해서 CrO42-의 양을 정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10-6g 정도의 미량도 정량이 가능하다.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표지한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침전 적정(滴定)을 실시하는 방사적정도 방사분석의 일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