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세목


 


 


 


 

















한글품명


문경세목


설명


무명은 무명실을 써서 재래식 베틀로 짠 평직물을 말하며, 무명의 품질이 좋기로 잘 알려진 곳은 경북 문경지방으로 특히 올이 아주 가는 세목으로 유명하다


전문설명


무명은 무명실을 써서 재래식 베틀로 짠 평직물을 말하며, 면포(綿布) 또는 무명베라고도 한다.무명의 품질이 좋기로 잘 알려진 곳은 경북 문경지방으로, 특히 세목(細木 : 올이 아주 가는 고운 무명)으로 유명했다.우리 나라의 무명은 고려 말 중국의 원(元)나라로부터 면화재배 및 면직기술이 처음 전래된 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세종대왕이 한글서적인 <농사언해(農事諺解)>를 편찬하여 면업(綿業)을 장려하게 되면서부터 크게 융성하였다.무명은 우리 나라의 전통직물로서 의복, 침구 및 기타 생활용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광목(廣木), 옥양목(玉洋木), 서양목과 같은 면직물과는 구별하여 불렀다.면화(綿花)는 주로 재래종과 육지면이 사용되었는데, 무명은 주로 황면인 재래종 면화에서 실을 뽑아 썼다.무명 한필의 길이는 20m 정도이고, 너비는 보통 32-36㎝이다.품질은 샛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7새 정도가 튼튼하고 실용적이어서 생활복에 많이 쓰였으며, 12새는 극상품에 속한다.무명은 소색(消色)으로 짜서 표백하여 사용하거나, 염색하여 사용하였다.무명으로 옷을 지으려면 먼저 물에 담가서 날실날기때 먹인 풀을 깨끗이 뽑고 잘 세탁하여 삶아서 널어 말린다. 그 뒤 다시 쌀풀을 먹여 양지에서 말린 뒤, 손으로 만지고 발로 밟아서 다리거나 다듬이질하여 사용한다.색무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풀을 빼고 세탁하여 양지에서 말린 다음 염색한 후 풀을 먹여 다리거나 다듬이질 한다.무명으로 옷을 지을 때 겨울옷은 솜을 두어 겹으로 지었으며, 봄, 가을 옷은 그냥 겹으로 짓고, 여름옷은 홑으로 지었다.무명은 질박하고 기교가 없으며 물레로 실을 짜므로 불규칙한 굵기 등에 의해 표면에 변화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점은 우리 민족의 감각에 아주 잘 맞아 오랫동안 자동직기(自動織機)에 의해 만들어진 값싼 면포를 압도하고 많이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ㆍ고대 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속대관 제5권-민속예술 , 생업기술』, 1982ㆍ한국민속사전 편찬위원회, 『한국민속대사전』, 1994ㆍ동서문화, 『한국세계대백과사전』, 1997ㆍ브리태니커, 동아일보, 『브리태니커 세계대백과사전』, 1982


 


자료제공 국립중앙과학관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