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표지 바이오 이미징 홀로토모그래피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R&D BRIEF

무표지 바이오 이미징 홀로토모그래피

 

 

 

홀로토모그래피

3차원 굴절률 토모그램을 측정하는 레이저 기술

시료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이미징 할 수 있는 현미경으로 사용됩니다.


X-ray CT와 물리적인 원리는 같으나,

CT가 X-ray를 이용하여 사람의 몸속 조직의 X-ray 흡수도를

3차원 분포로 측정하는 것에 비해,

홀로토모그래피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세포 내 다양한 소기관의 굴절률 분포를 재구성합니다.

 

광표시제 없이 세포나 조직의 3차원 영상화가 가능한 홀로토모그래피

세포가 본래 가지는 물리적 성질인 굴절률 자체를 측정하는 기술로

세포와 세포소기관들의 부피, 질량, 단백질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며,

사용되는 대물렌즈의 개구수와 이미지 센서의 속도에 따라

약 100nm의 공간 해상도와 초당 수백 프레임의 시간 해상도를 제공합니다.

 

3차원 홀로그래피 현미경 기술의 상용화로

기존 방법으로 촬영과 분석이 불가능했던

새로운 연구연역을 개척하고,

정량화를 통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수립하고 있어

홀로토모그래피는 폭넓은 연구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홀로토모그래피의 주요 연구 결과

3D 홀로토모그래피 활동 동맥경화 발병억제 후보물질 효용성 검증

정량적 4차원 편광 단층 현미경 개발

정량적 3차원 편광 위상 현미경을 이용한 암세포 분류기술 개발

출처 : 한국연구재단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