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품명 | 무용총주실천정성수도 |
설명 | 천문학 성좌에 대한 고구려인의 확실한 지식을 알려주는 예로서 각저총(角抵塚)의 무덤방 천장에도 별자리 그림이 있다. |
전문설명 | 천문학 성좌에 대한 고구려인의 확실한 지식을 알려주는 예로서 각저총(角抵塚)의 무덤방 천장에도 별자리 그림이 있다. 무용총과 각저총은 4세기 말에서 5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것이며 다른 벽화고분에서는 별로 드러나지 않은 별들의 그림이 두드러지게 잘 나타나 있다. 별은 태양, 달과 함께 원으로 나타내었고 위치가 정확하여 태양을 동쪽에 달을 서쪽에 그리고 청룡(靑龍), 현무(玄武), 백호(白虎), 주작(朱雀)을 각기 그 4방위에 정확하게 그려 놓았다. 또한 3선으로 원들을 이어 나타낸 몇개의 성수(星수)는 7개의 별자리 뿐이지만 28수중의 주된 성자들을 아주 충실히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고분에 있는 성수도가 매우 정확한 천체관측에 의하여 그려졌음을 알수 있으며 당시 고구려인들이 별자리에 대해 뚜렷한 천문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ㆍ전상운, 『이야기 한국과학사』, 서울신문사, 1984ㆍ전상운, 『한국과학기술사』, 정음사, 1976 |
자료제공 국립중앙과학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