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방체는 상·하부 니콜을 직교 상태로 동시에 사용하는 직교 니콜 하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광물을 뜻한다.
등방체의 경우 광물의 구조가 모든 방향으로 일정해서 빛이 광물을 지날 때 어느 방향에서 통과해도 광속이 일정하여 되고, 모든 방향에서 단굴절한다. 반면 이방체는 직교 니콜 하에서 두 빛의 경로 차 때문에 간섭이 나타나고 360도 돌릴 때 네 번의 소광이 나타나는 광물을 말한다.
등방체로는 유리질 고체와 섬아연석, 형석 같은 결정질 고체 중 등축정계를 꼽을 수 있고, 결정질 고체 중 등축정계를 제외한 나머지는 이방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