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전기회로에서 전위차가 있는 두 점 사이를 저항이 작은 도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회로에서 전위차가 있는 두 점 사이를 저항이 작은 도선으로 연결하는 것. 쇼트라고도 한다. 정상적인 상태 또는 보통의 사용조건에서는 전압이 발생하는 두 점 사이를 도체로 잇거나 또는 접속되는 사고 등을 말한다. 단락이 되면 단락 이전의 전압은 거의 0이 되고 단락 지점에는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많다.
전원 · 송전선 등의 선간단락, 3상회로의 2선이 단락하는 상간단락, 1선과 접지간의 단락인 지락(地絡), 전기기기의 코일 등의 층간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과도한 단락전류가 흐르게 된다. 단락전류의 정격(定格) 전류에 대한 배율을 단락비(短絡比)라 하며 교류회로에서는 주로 리액턴스로 결정된다.
과도한 단락전류로부터 전원 및 관련기기 등을 보호하기 위해 차단기나 퓨즈로 단락전류를 차단한다. 또한 단락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발전기 · 변압기 등을 시험할 때 실제 부하를 거는 대신에 출력단자를 단락시키고 발생전압이나 입력전압을 내려 정격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험법을 단락시험이라 하는데, 필요한 대전류를 쉽게 얻을 수 있어 널리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