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S프라임] 한반도 지진 시 골든타임 확보 위한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 2부.』
백두산 화산 폭발 시
국민행동요령

지진 조기 경보는
지진파 중 큰 피해를 유발하는
S파에 비해 약 1.7배 빠르게 전파되는
P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인데요,
먼저 도착하는 P파를 분석하여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S파가 도달하기 전에
지진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경보하는 시스템입니다.

지진 조기경보가 중요한 이유는
이를 통해 큰 피해를 주는
S파가 도달하기 전 5초 정도의
시간적인 여유만 있어도
머리를 보호하거나 책상아래로 대피하는
행동이 가능해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29개 화산 활동에 대한 감시도 이루어집니다.

천리안 등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와 주변국의 화산 활동을 감시하고
화산 분화 시
화산 정보, 화산재 특보를 발령하게 됩니다.

1903년 마지막 분화가 있었던 백두산은
지난 2002년 백두산 천지 하구에서
한 달에 250 여 차례의 지진이 감지되어
다시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연구자들은 백두산 폭발이
한반도에 끼칠 위협으로
화산재의 위협, 백두산 천지 물로 인한
피해를 가장 주요한 위협으로 꼽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백두산 폭발은
한반도 전체를 넘어 전 세계에
막대한 피해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런 화산이나 지진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숙지하고 있어야 할
행동 요령..!

다큐S프라임에서 알아봅니다.

== 2부 ====================================
00:00 | 타이완 지진
00:45 | 타이완 지진 같은 날, 일본 오키나와 서쪽 해역 지진
01:06 | 타이완 지진 다음 날, 멕시코 규모 7.5 강진
01:57 | 연쇄 지진의 원인, 태평양 용광로 ‘불의 고리’
03:03 | 불의 고리에 따라 위치해 있는 화산, 450여 개
04:27 | 불의 고리에서 활발한 지각 활동이 일어나는 이유
05:26 | 불의 고리에서 발생한 역대급 지진 사례
07:00 | 한국의 지진 사례
07:48 | 한반도, 불의 고리로부터 안전할까?
10:34 | 한반도의 지진 원인
12:00 | 기상청 지진화산감시센터의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14:13 | 백두산의 화산 활동과 위협
15:07 | 화산재 낙하 시 국민행동요령
15:43 | 지진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
[1부] 백두산 화산 폭발 시 국민행동요령
▶ https://youtu.be/9oOhtvaDJvE
[풀영상] 과학자들의 경고, 인류 멸망 시나리오
▶ https://youtu.be/fiAoacZEowQ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류멸망 #지진 #화산 #대재앙 #다큐멘터리
산업재해, 위기의 대한민국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11109170981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