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가위, 맞춤형 인간 가능한가.. 2부]
유전자 가위로 만든 작물은
GMO 식품일까?
=======================================
우리는 인류를 구해줄 유전자 가위를 환영하면서도
유전자 편집, 유전자 변형 작물인
GMO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곤 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50여 품목 이상
GMO 식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수입 육류와 농작물 일부 중 80% 이상
GMO 재배 상품으로 일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에서는 유전자 편집 식품이란 이유로
건강에 위험을 끼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전문가 의견과 객관적인 사실을 함께 살펴봅니다.
한편 동물 분야에서도 유전자 가위 연구는 뜨겁습니다.
뉴질랜드에서는 더위 저항성 목적을 위한
소의 유전자 편집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소 두 마리가 폐사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2018년 중국에서는 유전자 편집을 통해
아기를 출생하여 세계와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리기도 했습니다.
유전자 가위는 인류를 위한 이로운 기술에는 틀림없지만
생명체를 다루는 기술인 만큼 신중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미래만 예측할 수 없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각국의 유전자 기술 연구 사례를 보며
어떻게 다루어져야 할 지 함께 고민해봅니다.
==2부===================================
00:00 | 유전자 편집, GMO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
02:04 | 유전자 편집 식물
05:07 | 크리스퍼-카스9 의 활용
07:45 | 동물 분야 유전자 가위 연구는?
09:25 | 중국에서 출생 된 유전자 편집 아기
11:21 | 체세포 편집에 대한 허용 범위는?
=======================================
✨[풀영상] 유전자 가위, 맞춤형 인간 가능한가..
▶ https://youtu.be/z3Lmkhq39j4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