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재배의 새 패러다임…식물공장
[앵커 멘트]
식물을 논과 밭이 아닌 공장에서 재배하는 모습, 상상이 가십니까?
공상과학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이 모습이 지금 이 순간에도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이 식물공장이 첨단융합 IT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식물공장의 필요성과 미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엄영철 박사 전화연결 돼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질문1]
기후변화에 관계없이 1년 내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공장이 있다면서요?
식물을 공장에서처럼 만들어낸다는 뜻인가요?
[질문2]
설치 방식과 이용방법에 따라 식물공장을 세 가지로 구분한다고 하던데 어떻게 구분할 수 있죠?
[질문3]
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이용해서 채소를 재배하는 건지 소개를 좀 해주세요.
[질문4]
식물을 기르는데 필요한 모든 조건이 자동화되어 있군요.
이렇게 자연방식이 아닌 인공적인 재배 방식이 갖는 장점은 무엇입니까?
[질문5]
기존 흙에서 농사짓는 방식과 전혀 다른것 같아 재배하기엔 좋을것 같은데 혹시 단점은 없나요?
[질문6]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것이 단점이군요. 하지만 최근에는 농촌진흥청뿐만 아니라 민간 연구소와 산업체들도 이 식물공장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하던데 어떻습니까?
[질문7]
그렇다면 우리나라와 비교했을 때 다른 나라의 상황은 어떤가요?
[질문8]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가 식물공장에 주목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9]
이미 지난해부터 남극 세종기지에서는 이와 비슷한 시설이 가동 중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중동이나 아프리카 지역에도 식물공장을 수출할 계획이라고 하던데 어떻게 진행 중인지 궁금합니다.
[질문10]
미래 농업의 미래가 식물공장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은데요, 끝으로 향후 계획이나 목표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언제 어디서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특징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요.
바로 채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재배 할 수 있다는 것에 그저 신기할 따름인데요.
앞으로는 극지방뿐만 아니라 사막과 우주에서도 재배하는 날이 빨리 오기를 바라겠습니다.
오늘말씀 감사합니다.
– Copyrights ⓒ Science T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