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국가에서 고도화된 산업국가로

전형적인 농업국이던 20세기 중반의 한국은 60여 년 사이에 선진 공업국으로 탈바꿈했습니다. 농림어업은 전체 산업구조에서 2.5%만 차지한 데 비해, 제조업의 견인으로 광업·제조업은 세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라 서비스업의 비중도 60% 이상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포3-1
대한민국 수출품 1995년vs2014년

1990년대부터 한국은 이미 전자와 자동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섬유산업의 비중이 높고 석유화학공업은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원숙한 산업구조를 이루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었습니다. 이후 20년이 지난 현재, 양과 질 면에서 자동차 수출이 괄목할 만합니다. 섬유산업은 전에 비해 크게 축소됐고, 석유화학과 액정 관련 산업이 크게 성장했습니다.

인포3-2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