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south pole Antarctic, 南極]

[요약] 남극은 남위 90°의 지점인 남극(南極)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남위 90°의 지점인 남극(南極)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남극대륙의 대부분은 내륙빙(內陸氷)으로 뒤덮여 있고 내륙 중심부의 연평균기온은 -55℃에 이른다. 남극대륙의 지리적 탐험은 18세기 말 이래 많은 탐험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남극점에 최초로 도달한 사람은 노르웨이의 아문센과 영국의 스콧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실시된 과학적 조사로 남극이 광물과 수산 자연의 보고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각 나라들이 영유권을 주장하였다. 그 후에 1959년에 체결된 남극 조약으로 인해 남극 영유권 주장이 금지되었고 인류의 평화적 목적만을 위해 과학·학술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남극1 남극2

〔지형·지질〕남극대륙은 대부분이 내륙빙(內陸氷)으로 덮여 있다. 대륙부는 크게 만입(灣入)한 로스해(海)와 웨들해에 의해 동반구에 속하는 동(東)남극대륙과 서반구에 속하는 서남극대륙으로 나누어진다. 동남극대륙은 오래된 대륙성의 순상지(楯狀地) 선캄브리아대 및 고생대 초기에 형성된 지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남극대륙의 중심부인 마리버틀란드는 표고 1,500m정도로, 동남극대륙에 비해 낮다. 게다가 얼음 두께가 2,000~3,000m에 달하므로 지반(地盤)의 대부분은 해면하(海面下)에 있다. 남극반도에서 남쪽으로 뻗은 산맥과 태평양 연안의 산지가 주된 노암지역(露岩地域)이 되어 있다. 남극반도에서 가까운 디셉션섬에서는 1967년 말에 화산폭발이 있었고, 로스해(海) 서쪽에는 활화산 에레버스·멜버른 등이 있어, 그 일대가 환태평양조산대(環太平洋造山帶)의 일환을 이룬다.

〔대륙빙〕남극대륙의 얼음은 빙붕(氷棚)을 포함하여 약 1,400만 로, 노암지대(露岩地帶)는 겨우 1%이다. 지구상의 전체 빙하면적의 86%, 체적의 90%를 남극의 얼음이 차지하고 있다. 빙붕을 포함한 얼음 두께의 평균은 1,700m, 체적은 2,400만 에 이른다. 대륙빙은 주로 빙붕에서 바다로 흘러나간다. 빙붕은 표면이 평탄하고 200~300m나 되어 외곽의 가장자리에서 빙애(氷崖)를 이룬다. 그것이 떨어져 바다로 표류해 나간 것이 남극 특유의 탁상빙산(卓狀氷山)으로서 길이 100k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생물〕남극대륙 내부는 눈과 얼음에 덮여 있으므로 고등동식물은 서식하지 않는다. 펭귄은 2종류, 조류 10여 종, 바다표범 4종류, 물개 2종 등이 서식하며, 현화식물 2종 외에 20종의 이끼류, 400여 종의 지의류(地衣類)가 있다. 남극해의 고래는 새로운 협정에 의해 포획이 금지되고 있다(94년 6월 이후).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