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방전(gas discharge, 氣體放電)

[요약] 전자와 기체분자의 충돌로 발생하는 이온쌍의 운동에 의해 일어나는 기체 내의 전기전도 현상을 말한다.

전자와 기체분자의 충돌로 발생하는 이온쌍의 운동에 의해 일어나는 기체 내의 전기전도 현상. 기체 중에 놓인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 높여 가면 중성분자의 이온화가 일어나 어떤 전압 값에서 전극간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며 동시에 불꽃을 내면서 방전된다. 방전의 형식은 전류의 크기, 전극(電極)의 형태와 종류, 기체의 종류와 압력 등에 의해 결정되며 코로나 방전·글로 방전·아크 방전·불꽃 방전 등으로 구분한다. 이들 방전은 각 기구(機構)에 따라 특징이 있으며 어느 것이나 전자의 전리작용(電離作用) 외에 이온에 의한 후속전자(後續電子)의 보급을 필요로 하는 자속방전(自續放電)이다. 또 외부적인 이온화요인, 이를테면 X선이나 자외선 등에 의한 미약한 비(非)자속방전으로서의 암류(暗流) 등도 포함된다. 또 기압에 의해서 0.001~0.00001mmHg 이하의 방전을 진공방전이라 하고, 10~20mmHg 이상의 방전을 고기압방전이라고 한다.

기체방전



전체댓글수 0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