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수면 위에 만든 단분자막으로, 1분자당 표면적 A와 표면압 F 사이에 근사적으로 FA=nkT(k는 볼츠만 상수, T는 절대온도)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수면 위에 형성되어 1분자당 표면적 A와 표면압 F 사이에 근사적으로 FA=nkT(k는 볼츠만 상수, T는 절대온도)의 관계가 성립되는 단분자막. 위의 식은 3차원의 기체 법칙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러한 분자막을 2차원적 기체막이라고 한다. 탄소수 14~16인 지방산(脂肪酸)에서 A가 크고(500㎚2) F가 작은(0.1dyn/cm 이하) 경우 등에서 볼 수 있다.
기체막 상태에서는 흡착 분자의 표면압과 표면적간에 2차원 관계로서 기체가 맺어지므로 고분자의 단분자막을 만드는 표면압과 표면적으로부터 그 분자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界面活性齊)의 분자는 이온화기(基)를 가지기 때문에 가용성(可溶性)을 보이며, 이온 사이의 반발력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수면에서 기체막이 되기 쉽고, 또 FA의 값이 비교적 커지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