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학생 교육비 지원’ 신청 접수와 관련하여, 이를 사칭한 피싱 문자와 악성 어플이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무작위로 배포되고 있어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사기성 피싱 문자는 “(주)넥○ / http://www.***.*** 이월청구금액 448,000원”와 같이 교육비 지원을 사칭하는 문자로서 교육비 신청 중앙상담센터 전화번호(1544-9654)를 사칭하여 무분별하게 전송되고 있다.
악성 어플의 경우에는 “[복지로]2013년 초중고 교육비지원신청 원클릭어플로 쉽게하세요? taour.es/gvS”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며, 수신받은 문자메시지를 클릭하면, 어플이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설치된다.
피싱문자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악성어플이 설치된다.
이 어플을 어플실행하면 에러 화면이 뜨면서 자동소액결제가 이루어 진다.
ⓒ 교육과학기술부
이용자가 어플을 실행할 경우 “이용자 폭증…” 화면이 나타나고 확인버튼을 누를 경우, 사용자 동의 없이 소액결제(최대 30만원)가 처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미 악성 어플을 설치하여 이용한 경우에는 해당 통신사 고객센터와의 상담을 통해 소액결제 여부를 확인하는 등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고 문자로 오는 어플은 함부로 설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피해를 막는 최선의 방법이다.
’초·중·고 학생 교육비 지원’ 신청 서비스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개인용컴퓨터(PC)를 통해 인터넷 신청 사이트(교육비 원클릭신청시스템 http://oneclick.mest.go.kr 또는 복지로 http://www.bokjiro.go.kr)에 접속하여 신청할 수 있고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통한 신청은 불가능하다.
아울러 “교육비 지원”을 사칭하는 의심스러운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이를 즉시 삭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정보보호센터(118)나 교육비 지원 콜센터(1544-9654)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노한나 사이언스올 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