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시료용액에 적당한 시약의 표준용액을 가하면서 용액의 흡광도가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종말점을 구하는 용량분석법이다.
피적정용액의 흡광도(일반적으로 공학적 흡수) 변화를 조사하여 종말점을 구하는 적정을 말한다. 빛을 흡수하는 것은 적정물질, 피적정물질 또는 반응생성물 중 어느 것이라도 좋은데 적정액량에 대한 흡광도의 값을 그래프로 표시하면 일반적으로 적정한 종말점에 대응 하는 위치에서 직선이 꺾이게 되므로 이로서 종말점을 구할 수 있다. 흡광도는 적당한 특정 파장을 측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 간접적인 방법으로 미리 피적정액에 산염기지시액(중화적정 때)이나 금속지시약(킬레이트적정 때) 등을 가하고, 적정의 진행에 따라 이들 지시약의 흡광도 변화도 측정하고 있으나 이때의 그래프는 간단한 직선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