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력을 가진 주파수들이 하나 이상의 고유진동수들과 일치할 때 발생하는 상태.
보통 하나의 물체는 여러 개의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는데 소리굽쇠는 한 진동수의 음만을 내도록 고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진원지에서 멀어지면 진동이 약해지지만 공진은 진원지에서 멀어질수록 진동이 강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공진은 적용 범위가 넓은데 관악기처럼 공기 기둥을 가진 악기들은 공기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고, 현악기는 줄의 공진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라디오 주파수를 맞추거나 TV 채널 조정도 각 방송국의 고유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를 선택해 방송을 수신하는 전기공진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